Git(6)
-
git rebase 기준 브랜치 / 대상 브랜치
기준 브랜치 : new base branch, 새로운 base가 될 브랜치대상 브랜치 : branch, 명시하지 않으면 현재 브랜치 git merge 기준 브랜치 : 현재 브랜치대상 브랜치 : branch, 병합 대상이 될 브랜치 > git rebase든 merge든 아래 깔리는 브랜치가 기준 브랜치라고 한다. [이슈 상황] 위 내용은 feature 브랜치에서 devleop으로 rebase 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conflict 이다.[feature branch] git rebase devleop [이슈 원인]여기서 기준 브랜치는 develop, 대상 브랜치는 feature이기 때문에 저쪽에서 삭제했다는 것은 feature 브랜치에서 삭제가 되었다는 내용이다.여기서 git add . 을 해버리면 de..
2025.06.20 -
SubModule 추가
Main Project - Project/AppSub Project - Project/Module Main Project에서 Sub Project의 관리 포인트를 분리하기 위해서 gitlab에서 제공하는 submodule을 이용한다.1. SubModule 추가git submodule add [Sub Project Repository Url]2. SubModule 최신화git submodule foreach 'git [command] [repository alias] [repository branch]'-> git submodule update --remote로 진행하자ex> git submodule foreach 'git pull origin master'3. Main Project Clone 시 Sub..
2022.07.30 -
fetch 이해하기
- fetch란? 원격 저장소에 있는 정보를 가져오는 명령어(FETCH_HEAD라는 브랜치로 가져옴) - case#1 : 로컬 저장소 내용 무관하게 원격 저장소랑 싱크 맞추기 -> A와 B가 함께 작업하는 branch1인 경우, B가 커밋을 넣어도 A에서는 해당 커밋이 인식되지 않아 git log를 해도 최신화할 내용이 없다고 뜬다. 따라서, 원격 저장소 branch1의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git fetch를 수행한다. 이후에 git reset --hard origin/branch1 이라는 명령어는 현재 시점에 최신화된 origin/branch1의 소스로 변경이 된다. git pull origin branch1을 하게 되면 fetch이후 시점에 새로운 커밋이 발생한 경우 끌어오게된다. 위의 설명을 그림..
2022.01.26 -
rebase 이해하기
- rebase란? base가 되는 커밋을 새롭게 배치하는 것 - case#1 : rebase - pull - push -> rebase 후에 로컬 branch1과 origin branch1의 차이에 의해 생긴 pull과 push를 진행하면 merge commit이 발생하고, 브랜치에서 작업했던 내용이 중복되어 커밋됨 * 여기서 pull과 push의 개수는 각각 2개, 3개로 나타난다. 그 이유는 origin branch1 입장에서 로컬 branch1과 상이한 커밋이 2개 존재하므로 pull은 2개, 로컬 branch1의 입장에서 origin branch1과 상이한 커밋이 3개 존재하기 때문에 push가 3개로 잡히는 것이다. - case#2 : rebase - push -f -> case#1의 pull..
2022.01.18 -
Graph에서 Branch 분기가 나타나지 않을 때
작업 과정 1. feature/September : pull 2. develop : pull → conflict 발생 → 충돌 해결 후 commit → develop이 master로 merge(아마도 master/origin pull 한 듯(이전 작업 상태 재현을 위해 backup branch 생성)) 3. develop : reset -hard → branch 줄기가 linear하게 하나로 표현됨 원인 Google 검색결과 참고하면, 새 branch가 생성된 이후 base branch에 새로운 commit이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base branch에 새 commit이 발생하면 분기된 그래프가 나타난다고 함 참고 url : https://stackoverrun.com/ko/q/12741018 ..
2021.04.23 -
Git 저장소 개념
원격 저장소 협업 origin : 내 git 저장소(fork한 경우 포함) upstream : fork한 원본 프로젝트 저장소 master : default branch 원본 프로젝트 저장소(upstream) (fork) → (push/pull) 원격 저장소(origin) - branch(master, develop, release, feature…) (clone) → (push/pull) 로컬 저장소(local) - branch(master, develop, feature/September…) 참고 url : https://www.pincoin.co.kr/book/2/48/#push Git rebase 참고 url : https://junwoo45.github.io/2019-10-23-rebase/ r..
2021.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