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0. 19. 16:40ㆍAndroid/Firebase
dev 폴더의 google-services.json이 .dev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dimension 순서에 따라 후순위 dimension인 경우, build 과정에서 Excep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선순위인 경우는 build가 성공하며 해당 dev폴더의 google-services.json의 내용을 적용한다.
prodRelease의 경우,
prod 폴더가 있으면 해당 google-services.json을 적용하고,
없으면 release 폴더의 google-services.json을 적용하는데
만약 둘 다 정의되지 않은 경우에는 app/google-services.json이 적용된다.
app/google-services.json이 없어도 release/google-services.json을 적용해두면 동작한다.
또한, dev/google-services.json 없이 기본적인 설정(app/google-services.json만 존재)만 하는 경우 build시 Exception이 발생한다.(dev flavor에 suffix를 지정했기 때문에, 제거하면 build 성공함)
[정리]
release는 기본 설정을 따르면 따로 flavor 폴더를 생성해 google-services.json을 적용하지 않아도 build 성공함.
suffix를 지정한 경우에, 해당 flavor 우선순위와 buildType 순으로 존재하는 폴더의 google-services.json을 사용한다.(ex> devGoogleplayDebug : dev → googleplay → debug → Exception)
flavor이 여러개인 경우에도 선순위 flavor 폴더가 있으면 해당 google-services.json이 적용되고, 후순위 google-services.json이 정상적으로 설정되었어도 선순위 파일에 문제가 있는 경우 Exception이 발생하여 build에 실패
'Android > Fire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FCM(Firebase Cloud Messaging) (1) | 2024.03.12 |
---|---|
딥링크 / 앱링크 / 다이나믹 링크 (0) | 2024.03.12 |
FirebaseInstanceIdService deprecated (0) | 2021.04.23 |